홈페이지 제작하면서 가장 많이 만나는건 제로보드, 그누보드, 워드프레스 그리고 XE 입니다.

XE는 제로보드 후속 버전으로서 확장판으로 레이아웃, 위젯, 모듈, 애드온 등으로 이루어진 CMS툴입니다.


초창기에는 제로보드 후속으로서 많은 이들의 관심과 사랑을 한몸에 받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NHN으로 흡수된 이후 개발자들의 개발중단, 버전업에 따른 호환성/속도 문제 등 많은 논란이 있었습니다.

안타까운건 소통할려는 의지가 별로 없어보이는 현 개발자들의 모습입니다.


자유게시판의 폐쇄로 인해 더욱 가속화된 사용자들의 이탈이 그 예로 보일 수 있습니다.

비록 주제와 관련없는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이 모여있던 곳이지만 많은 이들이 대거 이탈하였습니다.


기본은 당연히 코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개발팀에서 항상 이야기합니다.

코어만 잘 만들면 서드파티는 당연히 잘 따라오겠지? 하고 말이죠..


하지만 주 이용자는 개발자가 아니라 관리자(사용자) 입니다.

개발자에 대한 관리체계가 없는것 또한 문제입니다.


XE의 공식사이트는 기본 코어와 모듈을 토대로 만들어져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곳곳에 우리가 알지 못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디자인은 그렇다 할지라도 모듈이나 애드온 같은건 기본적인걸 써야 함이 옮습니다.


사용자들은 말합니다.

공홈에서 쓰는 프로그램은 배포하지 않는가? 공홈에서 쓰는 기능들은 왜 공개를 하지 않는가? 말이죠

사용자 입장에서는 공홈을 보고 배웁니다. 

공홈에서 글을 쓰고 댓글을 쓰고 로그인/로그아웃 같은 일련의 활동을 하면서

XE사이트가 이렇고 저렇고 스스로 배우게 됩니다.

공홈에서 체험하기를 따로 두곤 했지만 그건 자료실에 올라온 자료를 테스트하는 용도라고 봅니다.


프로그램이 자료실에 없으면 "왜 똑같이 못만들지?" 라는 벽에 부딪히게 됩니다.

소개도 되어 있지 않고 그저 공지로 짤막하게 나와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배포하지 않습니다" 라고 끝내버리죠.


사람들은 대체를 찾아나섭니다.

하지만 자료실에는 대체할만한 프로그램은 없고 유료를 찾으려 해도 찾기 어렵습니다.


도대체 약올리려고 그러는걸까요?

공홈은 이 기능이 있는데 부럽지? 이러고 있는걸까요?


모바일 시장이 커진 이때 소셜지원은 당연 화두입니다.

소셜지원, 앱지원 등 기본으로 지원하도록 해야한다고 봅니다.


그저 툭하니 니들이 한번 만들어봐라 라고 개발자들에게 툭 던지는 행동은 잘못되었다고 봅니다.

물론 코어는 기본기능만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어디까지가 기본기능인건지..

갈수록 변하고 있는 이때에 단순히 레이아웃, 게시판의 기본기능만 가지고 과연 미래가 있을건지..


많은 모듈 개발자 스킨 개발자들이 떠났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구요. 더이상 자료실에 올리고 싶지 않습니다.


현재 올라와 있는 많은 자료들은 호환성이 많이 부족합니다.

이전 버전까지 만들고 다들 떠났습니다.


개발자들은 자선사업가들이 아닙니다.

개발자들을 위해 제도를 개선하고 편한하게 자료를 올릴 수 있게 해주었으면 합니다.

외부에 있는 마켓을 내부로 끌어들여 무료/유료 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해 달라는 거죠


XE마켓이 생겼었고 허브가 생겼었습니다.

하지만 XE가 자체적으로 관리하는 곳이 아니고 외주일 뿐이지요.

심지어 XE마켓은 공홈에 나타나지도 않습니다. 웃기는 일이죠..


비방하고자 글을 쓴건 아닙니다. 그저 답답함에 이 프로그램을 너무 좋아하는 사용자일 뿐입니다.



XE는 변해야 합니다.

사용자 입장에서 개발을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일상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뮤지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프리뷰 (150108)  (0) 2015.01.09
시작합니다  (0) 2015.01.02

+ Recent posts